맨위로가기

루키노 비스콘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키노 비스콘티는 이탈리아의 영화 및 연극 연출가로, 1906년 밀라노에서 태어나 1976년 사망했다. 그는 가문의 예술적 환경 속에서 성장하여 여러 예술 분야에 조예가 깊었으며, 코코 샤넬의 소개로 장 르누아르를 만나 영화계에 입문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이탈리아 공산당에 가입하여 레지스탕스 운동에 참여했으며, 종전 후에는 네오레알리즘 영화의 선구자로서 두각을 나타냈다. 《강박관념》, 《흔들리는 대지》, 《로코와 그 형제들》 등의 작품을 통해 사회 현실을 날카롭게 반영했으며, 이후에는 유미주의적 경향을 띤 작품을 연출하여 《애증》, 《표범》, 《베니스에서의 죽음》 등의 걸작을 남겼다. 또한, 오페라 연출가로도 활동하며 마리아 칼라스 등 유명 성악가들과 협업했다. 그의 작품들은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베네치아 영화제 황금사자상 등 권위 있는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작품성과 예술성을 인정받았으며, 영화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성소수자 작가 - 안젤로 폴리치아노
    안젤로 폴리치아노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고전학자이자 시인으로, 로렌초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았으며 고전 문헌 연구에 문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학계에 영향을 미쳤고, 다양한 라틴어 및 이탈리아어 작품을 남겼다.
  • 이탈리아의 성소수자 작가 - 토르콰토 타소
    토르콰토 타소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시인이자 극작가로, 서사시 《리날도》, 목가극 《아민타》, 대서사시 《해방된 예루살렘》 등의 작품을 남기며 유럽 문학과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비스콘티가 -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는 밀라노 비스콘티 가문 출신으로, 1385년 밀라노의 지배권을 장악하여 밀라노 공국을 건설하고 롬바르디아 지역을 정복하며 세력을 확장했으며, 1395년 밀라노 공작 작위를 받았고, 군사력 강화와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피렌체 정복에 실패하고 1402년 페스트로 사망한 인물이다.
  • 비스콘티가 -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는 1412년부터 1447년까지 밀라노 공작으로 재임하며 권력 강화를 위해 정략 결혼과 용병을 활용하여 영토를 확장하려 했으나,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비스콘티 가문의 남성 직계가 단절되었고, 그의 사생녀 비안카 마리아 비스콘티와 결혼한 프란체스코 스포르차가 밀라노 공작위를 계승했다.
  • 이탈리아의 공산주의자 - 조르조 나폴리타노
    조르조 나폴리타노는 이탈리아 공산당 출신의 정치인으로, 이탈리아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이탈리아 최초의 공산당 출신 대통령이자 재선된 대통령으로 기록되었다.
  • 이탈리아의 공산주의자 - 안토니오 네그리
    안토니오 네그리는 이탈리아의 철학자이자 정치사상가로, 자율주의 마르크스주의의 선구자이며 노동자주의 운동을 주도했고, 아우토노미아 운동에 참여했으며, 『제국』을 통해 세계화 시대 권력 구조를 분석하여 좌파 지식인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루키노 비스콘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72년 비스콘티
본명루키노 비스콘티 디 모드로네
출생일1906년 11월 2일
출생지이탈리아 왕국 밀라노
사망일1976년 3월 17일
사망지이탈리아 로마
직업영화 감독
각본가
연극 연출가
오페라 연출가
국적이탈리아
신장185 cm
작가 활동
활동 기간1942년 - 1976년
장르영화
오페라
주요 작품흔들리는 대지 (1948년)
로코와 그 형제들 (1960년)
표범 (1963년)
저주받은 자들 (1969년)
베니스에서의 죽음 (1971년)
루트비히 (1972년)
수상
인도 국제 영화제금공작상 (저주받은 자들, 1969년)
칸 영화제황금종려상 (표범, 1963년)
25주년 기념상 (베니스에서의 죽음, 1971년)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황금사자상 (희미한 곰별자리, 1965년)
은사자상 (백야, 1957년)
심사위원 특별상 (로코와 그 형제들, 1960년)
국제상 (흔들리는 대지, 1948년)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 (로코와 그 형제들, 1960년)
일본 아카데미상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가족의 초상, 1978년)
블루리본상외국 작품상 (1978년, 가족의 초상)
기타 정보
관련 인물우베르토 파졸리니

2. 생애

루키노 비스콘티는 1906년 11월 2일 밀라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주세페 비스콘티 디 모드로네는 로나테 포촐로를 관할하는 백작이었으며 그 자신도 이후 '루키노 비스콘티 디 모드로네'라는 호칭을 얻게 되었다. 어려서부터 가문의 영향으로 여러 예술을 접했으며 자코모 푸치니,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가브리엘레 단눈치오 등과 인연을 맺었다.[9] 이후 친구였던 코코 샤넬의 추천으로 장 르누아르와 만나게 되었다. 이후 르누아르가 감독한 《토니》, 《시골에서의 하루》 등의 영화에서 조감독으로 함께 작업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도중 이탈리아 공산당에 입당하면서 레지스탕스 운동에 가담하였다.[9]

루키노 비스콘티


이후 로베르토 로셀리니, 페데리코 펠리니, 안토니오 피에트란게리 등과 교류하면서 영화 제작에 적극적으로 가담한다. 1943년에 처음으로 감독한 《강박관념》은 최초의 네오레알리스모 영화로 평가받지만 원작 소설을 판권도 없이 각색했다는 당국의 재제로 개봉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상영 금지당했다. 그 다음 감독한 《흔들리는 대지》는 실제 농민들을 데려다가 찍으면서 사실성을 극대화하였다. 1960년 개봉한 《로코와 그 형제들》도 시칠리아 출신의 등장인물들이 근대화 과정에서 겪는 아픔을 사실적으로 그려내 네오레알리스모 성향을 극명하게 나타냈다.

한편 1954년 개봉한 《애증》에서부터 유미주의 색채가 짙은 사극들을 감독하기 시작했다.[49] 이 영화는 이전 네오레알리스모 영화들과 달리 할리우드 배우인 알리다 발리와 팔리 그레인저를 기용했으며 세트 장식에도 매우 신경썼음이 드러난다. 1963년 개봉한 《표범》은 버트 랭카스터를 기용해 시칠리아 귀족이 이탈리아 통일 운동 과정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을 유미주의적으로 그려냈다.[49] 이 영화는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였다.[49] 이후 토마스 만의 중편 소설을 각색한 《베니스에서의 죽음》에서는 유미주의 색채를 크게 드러냈다.

영화 감독 이외에도 연극 연출가로도 활약해 1946년부터 여러 오페라를 연출하였다. 그가 연출한 오페라는 마리아 칼라스 등 여러 오페라 성악가들이 출연했으며 평론가들도 크게 호평하였다. 1976년 3월 17일에 심장 마비로 숨졌다.

2. 1. 초기 생애 (1906~1936)

루키노 비스콘티는 1906년 11월 2일 밀라노에서 아버지 주세페 비스콘티 디 모드로네와 어머니 카를라[6] 사이에서 태어났다. 비스콘티 가문은 1277년부터 1447년까지 밀라노를 통치했던 가문의 분파였으며, 아버지는 로나테 포촐로를 관할하는 백작이었다.[48] 비스콘티는 '루키노 비스콘티 디 모드로네'라는 호칭을 얻었다.

가문 문장


비스콘티는 밀라노의 가족 거처인 비아 체르바의 ''팔라초 비스콘티 디 모드로네''와 비골초네 근처의 가족 영지인 ''그라차노 비스콘티 성''에서 자랐다.[7] 어린 시절부터 가문의 영향으로 예술, 음악, 연극을 접했으며, ''팔라초 비스콘티 디 모드로네''에는 작은 개인 극장이 있었다. 또한 가족은 라 스칼라 오페라 하우스에 전용 관람석을 가지고 있었다. 비스콘티는 첼리스트 로렌초 데 파올리스에게 첼로를 배웠고, 자코모 푸치니,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가브리엘레 단눈치오 등과 인연을 맺었다. 1920년대 초 부모가 별거한 후, 어머니는 비스콘티를 포함한 어린 자녀들과 함께 밀라노의 자택과 코모 호반 체르노비오에 있는 여름 별장인 빌라 에르바로 이사했다.

1926년부터 1928년까지 군 복무를 마친 후, 1928년부터 연극 배우 겸 세트 디자이너로 일하기 시작했다.[48] 1936년, 코코 샤넬의 소개로 장 르누아르를 만나 그의 영화 《토니》, 《시골에서의 하루》 등에서 조감독으로 함께 작업하였다.

2. 2. 청년기와 예술적 교류 (1926~1936)

루키노 비스콘티는 1906년 11월 2일 밀라노에서 가문 문장을 사용하는 유력 귀족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다.[6] 아버지 주세페 비스콘티 디 모드로네는 로나테 포촐로를 관할하는 백작이었으며, 비스콘티 본인도 이후 '루키노 비스콘티 디 모드로네'라는 호칭을 얻었다. 밀라노의 가족 거처인 비아 체르바의 ''팔라초 비스콘티 디 모드로네''와 비골초네 근처 가족 영지인 ''그라차노 비스콘티 성''에서 성장했다.[7] 어린 시절부터 가문의 영향으로 예술, 음악, 연극을 접했으며, 밀라노의 ''팔라초 비스콘티 디 모드로네''에는 작은 개인 극장이 있었고, 가족은 라 스칼라 오페라 하우스에 전용 관람석을 가지고 있었다.[7]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세례를 받고 성장했으며,[7] 1926년부터 1928년까지 군 복무를 했다.[48]

이탈리아 첼리스트이자 작곡가인 로렌초 데 파올리스에게 첼로를 배웠고, 작곡가 자코모 푸치니, 지휘자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작가 가브리엘레 다눈치오와 교류하였다. 비스콘티는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읽고 문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이후 영화 경력을 시작하기 전에는 경주마 훈련에 열정을 쏟았다. 1936년에는 친구였던 코코 샤넬의 소개로 장 르누아르를 만났다.

2. 3. 영화계 입문과 네오레알리스모 (1936~1950년대)

루키노 비스콘티는 1906년 11월 2일 밀라노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가문의 영향으로 여러 예술을 접했으며 자코모 푸치니,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가브리엘레 단눈치오 등과 인연을 맺었다.[9] 친구 코코 샤넬의 추천으로 장 르누아르와 만나 영화 경력을 시작했다.[11] 르누아르의 영화 《시골에서의 나들이》(1936) 세트 담당을 시작으로, 《토니》, 《시골에서의 하루》 등에서 조감독으로 일했다. 미국을 잠시 여행하며 할리우드를 방문한 후, 르누아르의 조감독으로 이탈리아로 돌아와 칼 코흐가 제작을 중단했다가 나중에 완성한 영화 《토스카》(1941)를 맡았다.

제2차 세계 대전이탈리아 공산당에 입당하여 레지스탕스 운동에 가담했다.[9] 그는 이탈리아 파시즘에 유일하게 효과적으로 대항하는 세력으로 공산당을 지지했다. 초기에는 국가 파시스트당의 미적인 측면에 감명을 받았지만, 무솔리니 정권을 혐오하게 되었고, 부르주아 계급을 비난하며 이탈리아 레지스탕스 운동과 협력했다. 그는 공산주의자들의 게릴라전을 지원하고, 로마에 있는 그의 빌라를 반대파 예술가들의 회합 장소로 제공했다. 1944년 4월 로마가 독일군에 점령된 후, 비스콘티는 체포되어 총살형을 선고받았으나, 마리아 데니스의 개입으로 가까스로 죽음을 면했다. 전쟁 후 비스콘티는 자신을 체포했던 피에트로 코흐를 증언했으며, 코흐는 유죄 판결을 받고 처형되었다.[10]

밀라노 영화 저널 ''Cinema''의 동료 지아니 푸치니, 안토니오 피에트란젤리, 주세페 데 산티스와 함께 비스콘티는 1943년 감독 데뷔작 《강박관념》의 시나리오를 썼다. 이 영화는 네오리얼리즘 영화의 초기 사례 중 하나이자 소설 《체신부는 두 번 울린다》의 비공식적인 각색 작품이다.[12] 《강박관념》의 시사회는 영화와 기타 예술의 국가적 중재자이자 ''Cinema''의 편집자였던 비토리오 무솔리니 (베니토의 아들)가 주최한 영화제에서 열렸다.[13] 영화를 본 후 비토리오는 "이것은 이탈리아가 아니다!"라고 외치며 극장에서 뛰쳐나갔다고 한다. 이 영화는 파시스트 정권에 의해 이후 억압되었고, 로마에서 처음으로 공개된 것은 1945년 5월이었다.[14]

1948년에는 조반니 베르가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 《흔들리는 대지》를 쓰고 감독했다. 이후 로베르토 로셀리니, 페데리코 펠리니, 안토니오 피에트란게리 등과 교류하며 영화 제작에 적극 가담했다. 1950년대에도 계속 작업했지만, 1954년 영화 《센소》로 네오리얼리즘에서 벗어났다. 이 영화는 카밀로 보이토의 소설을 바탕으로 1866년 오스트리아가 점령한 베네치아를 배경으로 한다. 비스콘티는 사실주의와 낭만주의를 결합하여 네오리얼리즘에서 벗어나려 했다.[15] 1960년 개봉한 《로코와 그 형제들》은 시칠리아 출신 등장인물들이 근대화 과정에서 겪는 아픔을 사실적으로 그려내 다시 한번 네오레알리스모 성향을 보였다.

2. 4. 탐미주의로의 전환 (1950년대 중반~1976)

1954년 개봉한 《애증》에서부터 유미주의 색채가 짙은 사극들을 감독하기 시작했다.[49] 이 영화는 이전 네오레알리스모 영화들과 달리 할리우드 배우인 알리다 발리와 팔리 그레인저를 기용했으며 세트 장식에도 매우 신경썼음이 드러난다. 1963년 개봉한 《표범》은 버트 랭카스터를 기용해 시칠리아 귀족이 이탈리아 통일 운동 과정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을 유미주의적으로 그려냈다.[49] 이 영화는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였다.[49] 이후 토마스 만의 중편 소설을 각색한 《베니스에서의 죽음》에서는 유미주의 색채를 크게 드러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전반의 독일권의 융성과 붕괴를 거슬러 올라가며 그린 "'''독일 3부작'''"은, 1969년더크 보가드와 헬무트 버거, 잉그리드 툴린, 샬롯 램플링 등을 기용한 『신들의 황혼』으로 시작한다.[54]이 영화에서는 나치스가 대두한 1930년대 초반의 독일에서 철강 재벌의 몰락을 그렸다. 1971년에는 다시 보가드를 기용하여, 토마스 만의 동명 소설을 영화화한 『베니스에서의 죽음』을 발표했다. 제24회 칸 영화제에서 25주년 기념상을 수상했다. 원작에서는 말러를 모델로 한 주인공 아셴바흐는 작가이지만, 비스콘티는 그것을 작곡가로 변경했다. 1972년에는 헬무트 버거를 주연으로 기용하여, 바이에른 왕루트비히 2세의 즉위부터 죽음까지를 역사에 따라 그린 역사 대작 『루트비히』를 발표했다. 비스콘티는 촬영 중에 병에 쓰러졌지만, 혹독한 재활을 거친 끝에 이 작품을 완성했다. 그러나, 왼쪽 반신의 후유증은 평생 남았고, 이후는 휠체어 생활을 할 수밖에 없었다.[49] 1974년, 버트 랭카스터와 헬무트 버거, 실바나 만가노를 기용한 『가족의 초상』을 발표했다. 랭카스터가 연기한 고독한 노교수는 비스콘티가 자신을 투영한 인물로 여겨진다.[49] 1976년에는 가브리엘레 다눈치오의 동명 소설을 영화화한 『순수한 사람들』을 발표했다. 귀족 영화의 걸작으로 높이 평가받았다.

2. 5. 연극 및 오페라 연출

루키노 비스콘티는 영화 감독뿐만 아니라 1946년부터 1960년까지 유명한 연극 및 오페라 연출가로도 활동했다. 배우 비토리오 가스만과 함께 리나 모렐리-파올로 스토파 극단의 많은 공연을 연출했다.

비스콘티의 오페라 연출은 1954년 밀라노의 라 스칼라 극장에서 《라 베스탈레》를 연출하면서 시작되었다. 1955년 마리아 칼라스와 함께 한 라 트라비아타와 1957년 칼라스와 함께 한 《안나 볼레나》(역시 라 스칼라에서) 공연은 특히 유명하다. 1958년에는 로열 오페라 하우스에서 베르디의 5막 이탈리아 버전 《돈 카를로》를 연출했고(존 비커스 출연), 같은 해 스폴레토에서 《맥베스》를, 1964년 로열 오페라 하우스에서 필리포 산주스트의 무대 장치와 의상을 사용한 흑백 《일 트로바토레》를 연출했다. 1966년 레너드 번스타인이 지휘한 빈 국립 오페라의 비스콘티의 《팔스타프》는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지만, 1969년 그가 연출한 기하학적인 의상을 입은 가수들이 출연한 《시몬 보카네그라》는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그의 영화 《애증》의 시작 부분은 베네치아의 라 페니체 극장에서 촬영된 《일 트로바토레》의 4막 장면을 보여주며 오페라에 대한 그의 애정을 드러냈다.

2. 6. 개인사 및 말년

루키노 비스콘티는 1906년 11월 2일 밀라노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가문의 영향으로 여러 예술을 접하였다.[18] 자코모 푸치니,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가브리엘레 단눈치오 등과 인연을 맺었다.[18] 친구였던 코코 샤넬의 추천으로 장 르누아르 감독의 영화에 조감독으로 참여하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이탈리아 공산당에 입당하여 레지스탕스 운동에 가담하였다. 종전 후에는 로베르토 로셀리니, 페데리코 펠리니 등과 교류하며 영화 제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18]

비스콘티는 영화 감독뿐만 아니라 연극 연출가로도 활동하여 1946년부터 여러 오페라를 연출하였으며, 마리아 칼라스 등 유명 성악가들이 출연하여 호평을 받았다. 그는 자신의 동성애를 숨기지 않았지만, 평생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 남았다.[7][18] 1936년부터 3년간 사진작가 호르스트 P. 호르스트와 관계를 맺었으며, 이후에는 감독이자 프로듀서인 프랑코 제피렐리,[19] 배우 우도 키에르,[20] 헬무트 베르거[21] 등과 공개적으로 연인 관계를 맺었다. 특히 베르거는 비스콘티의 영화 ''지옥에 떨어진 사람들'', ''루트비히'', ''가족의 초상''에 출연하였다. 비스콘티의 자서전에 따르면, 1920년대 청년 시절 이탈리아의 움베르토 2세와 로맨틱한 관계를 가졌다고 한다.[22]

비스콘티는 1968년 5월 혁명에 적대적이었으며, 시위대를 파괴적인 변화를 추구한다고 비판했다.[23] 급진 좌파 이탈리아의 테러리즘을 경계하며 새로운 파시즘의 부상을 두려워했다.[23] 영화 제작자인 우베르토 파솔리니가 그의 조카손자이다.[24]

1972년 비스콘티


비스콘티는 하루에 담배를 120개비나 피우는 골초였다.[26] 1972년 심각한 뇌졸중을 앓았음에도 흡연을 계속하였고, 1976년 3월 17일 로마에서 69세의 나이로 또 다른 뇌졸중으로 사망하였다.[27] 그의 장례 미사는 1976년 3월 19일 로마 산탄지냐치오 디 로욜라 인 캄포 마르지오에서 거행되었으며, 조반니 레오네 이탈리아 대통령과 배우 버트 랭커스터,[28] 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 라우라 안토넬리, 비토리오 가스만, 헬무트 베르거 등이 참석했다. 그의 작품을 기리는 박물관이 이스키아 섬에 있으며, 그곳에는 그의 여름 별장인 ''라 콜롬바이야''가 있다.[29]

3. 작품 세계

3. 1. 네오레알리스모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는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에 맞서고 하층민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춘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 운동의 창시자 중 한 명이 되었다. 비스콘티는 귀족 출신으로 고등 교육을 받았으며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은 적이 없었다. 그의 영화는 이러한 긴장을 반영했다. 사실 비스콘티는 자신이 오래 전, 즉 이전(19세기) 시대의 세계에서 왔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영화 《레오파드》에서 그는 낡은 사회 질서의 쇠퇴와 "현대" 시대의 부상을 다루었다. 그는 화려한 회상을 상상 속의 잃어버린 세계로의 도피가 아닌, 징후를 해독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는 나중에야 드러날 심오한 역사적 변화의 징후를 짚어내고 싶어 했다. 그는 예술에서 현실주의의 과제로서, 세대 간의 불일치와 그들의 세계관을 보여주기 위해 관련 작품을 세계 문학에서 찾았다. 그가 퇴폐주의 혐의를 받았을 때, 그는 토마스 만과 그의 예술 창작 방식을 떠올렸다.

3. 2. 탐미주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비스콘티는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과 하층민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춘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 운동의 창시자 중 한 명이 되었다. 비스콘티는 귀족 출신으로 고등 교육을 받았으며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은 적이 없었다. 그의 영화는 이러한 긴장을 반영했다. 사실 비스콘티는 자신이 오래 전, 즉 이전(19세기) 시대의 세계에서 왔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영화 《레오파드》에서 그는 낡은 사회 질서의 쇠퇴와 "현대" 시대의 부상을 다루었다. 그는 화려한 회상을 상상 속의 잃어버린 세계로의 도피가 아닌, 징후를 해독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는 나중에야 드러날 심오한 역사적 변화의 징후를 짚어내고 싶어 했다. 그는 예술에서 현실주의의 과제로서, 세대 간의 불일치와 그들의 세계관을 보여주기 위해 관련 작품을 세계 문학에서 찾았다. 그가 퇴폐주의 혐의를 받았을 때, 그는 토마스 만과 그의 예술 창작 방식을 떠올렸다.

3. 3. 독일 3부작

비스콘티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 운동의 창시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과 그것이 하층민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췄다. 비스콘티는 귀족 출신으로 고등 교육을 받았으며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은 적이 없었지만, 그의 영화는 이러한 긴장을 반영했다. 사실 비스콘티는 자신이 오래 전, 즉 19세기 시대의 세계에서 왔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영화 《레오파드》에서 그는 낡은 사회 질서의 쇠퇴와 "현대" 시대의 부상을 다루었다. 그는 화려한 회상을 상상 속의 잃어버린 세계로의 도피가 아닌, 징후를 해독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는 나중에야 드러날 심오한 역사적 변화의 징후를 짚어내고 싶어 했다. 그는 예술에서 현실주의의 과제로서, 세대 간의 불일치와 그들의 세계관을 보여주기 위해 관련 작품을 세계 문학에서 찾았다. 그가 퇴폐주의 혐의를 받았을 때, 그는 토마스 만과 그의 예술 창작 방식을 떠올렸다.

4. 작품 목록

4. 1. 영화

루키노 비스콘티는 코코 샤넬의 소개로 장 르누아르의 영화 ''시골에서의 나들이''(1936) 세트 담당으로 영화 경력을 시작했다.[11] 미국을 잠시 여행하며 할리우드를 방문한 후, 르누아르의 조감독으로 일했으며, ''토스카''(1941) 제작에 참여했다.[11]

밀라노 영화 저널 ''Cinema''의 동료들과 함께 비스콘티는 감독 데뷔작인 강박관념]]/네오리얼리즘 영화의 초기 사례 중 하나이자 소설 ''체신부는 두 번 울린다''의 비공식적인 각색 작품이다.[12] 강박관념it의 시사회는 파시스트 정권의 검열로 인해 1945년 5월에야 로마에서 처음으로 공개되었다.[14] 1948년에는 조반니 베르가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 ''흔들리는 대지''를 쓰고 감독했다.

1950년대에 비스콘티는 1954년작 ''애증''(Senso)을 통해 네오리얼리즘에서 벗어났다. 이 영화는 1866년 오스트리아 점령하의 베네치아를 배경으로 사실주의와 낭만주의를 결합했다.[15] 이후 비스콘티는 로코와 그 형제들(''Rocco e i suoi fratelli'', 1960)로 다시 네오리얼리즘으로 돌아왔다.[16]

1960년대부터 비스콘티의 영화는 귀족적이고 상류층 출신, 공산주의적 정치적 신념, 그리고 사회 분석을 결합하여 영화사의 걸작들을 만들어냈다. 주세페 토마시 디 람페두사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표범''(''Il Gattopardo'', 1963)은 리소르지멘토 시대 시칠리아 귀족의 쇠퇴를 다룬다. 이 영화는 20세기 폭스에 의해 미국과 영국에서 배급되었으나, 중요한 장면들이 삭제되어 비스콘티가 이를 거부했다.

비스콘티는 ''지옥에 떨어진 용감한 자들''(1969)로 아카데미 각본상 후보에 올랐다. 이 영화는 1930년대 나치 독일의 권력 통합 동안 붕괴하는 독일 산업가 가족에 대한 이야기로, 성적 내용으로 인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는 이 영화를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영화로 칭찬했다. 토마스 만의 소설을 각색한 ''베네치아에서의 죽음''(1971)에서도 비스콘티의 미학이 잘 드러난다.

비스콘티의 마지막 영화는 ''순수한 사람들''(1976)이다.

연도제목원제비고
1943강박관념Ossessioneit
1948흔들리는 대지La Terra Tremait베네치아 영화제 국제상 수상
1951아름다운 여인Bellissimait
1954애증Sensoit베네치아 영화제 황금사자상 후보
1957백야Le Notti Biancheit베네치아 영화제 은사자상 수상
베네치아 영화제 황금사자상 후보
1960로코와 그 형제들Rocco e i suoi fratelliit베네치아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 수상
베네치아 영화제 황금사자상 후보
1963표범Il Gattopardoit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
1965희미한 곰별자리Vaghe stelle dell'Orsait베네치아 영화제 황금사자상 수상
1967이방인Lo stranieroit베네치아 영화제 황금사자상 후보
1969지옥에 떨어진 용감한 자들La caduta degli deiit아카데미 각본상 후보
1971베네치아에서의 죽음Morte a Veneziait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감독상 수상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후보
BAFTA 감독상 후보
1973루드비히Ludwigit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감독상 수상
1974폭력과 열정Gruppo di famiglia in un internoit
1976순수한 사람들L'innocenteit


4. 2. 기타


  • ''조르니 디 글로리아/Giorni di gloriait'', 다큐멘터리, 1945
  • ''어떤 사건에 관한 노트'', 단편 영화, 1951
  • ''우리는 여자'' 에피소드 ''안나 마냐니'', 1953
  • ''보카치오 70'', 1962, 조반니 보카치오의 ''데카메론''의 에피소드 ''일''에 기반함
  • ''마녀들'' 에피소드 ''산 채로 불타는 마녀'', 1967
  • ''타치오를 찾아서/Alla ricerca di Tadzioit'', TV 영화, 1970
  • ''사건 기록에 대한 메모'', 다큐멘터리, 1953년
  • 우리는 여자들 ''Siamo donne'' (1953년) 옴니버스
  • 보카치오 70 ''Boccaccio '70'' (1962년) 옴니버스
  • 화려한 마녀들 ''Le streghe'' (1966년) 옴니버스

4. 3. 오페라 연출

비스콘티는 유명한 연극오페라 연출가였다.[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 1946년부터 1960년까지 비토리오 가스만과 함께 리나 모렐리-파올로 스토파 극단의 많은 공연과 여러 유명 오페라 작품을 연출했다.

비스콘티의 오페라에 대한 애정은 1954년 영화 《센소》에서 드러나는데, 영화의 시작 부분은 베네치아의 라 페니체 극장에서 촬영된 《일 트로바토레》의 4막 장면을 보여준다. 그의 오페라 연출 경력은 1954년 12월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에서 《라 베스탈레》를 연출하면서 시작되었다.[30] 1955년 마리아 칼라스와 함께 한 라 트라비아타[32], 1957년 칼라스와 함께 한 《안나 볼레나》(역시 라 스칼라에서)[33]도 유명하다.

1958년 런던 로열 오페라 하우스에서 베르디의 5막 이탈리아 버전 《돈 카를로》를 연출했고(존 비커스 출연),[35] 같은 해 스폴레토에서 《맥베스》를,[36] 1964년 로열 오페라 하우스에서 필리포 산주스트의 무대 장치와 의상을 사용한 유명한 흑백 《일 트로바토레》를 연출했다.[41]

1966년 레너드 번스타인이 지휘한 빈 국립 오페라의 비스콘티의 화려한 《팔스타프》는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다.[43] 반면, 1969년 그가 연출한 기하학적인 의상을 입은 가수들이 출연한 엄격한 《시몬 보카네그라》는 논란을 불러일으켰다.[47]

연도제목 및 작곡가오페라 하우스주요 출연진 / 지휘자
1954라 베스탈레,
가스파레 스폰티니
라 스칼라 극장마리아 칼라스, 프랑코 코렐리, 에베 스티냐니, 니콜라 자카리아
지휘: 안토니노 보토[30]
1955몽유병자,
빈센초 벨리니
라 스칼라 극장마리아 칼라스, 체사레 발레티, 주세페 모데스티
지휘: 레너드 번스타인[31]
1955라 트라비아타,
주세페 베르디
라 스칼라 극장마리아 칼라스, 주세페 디 스테파노, 에토레 바스티아니니
지휘: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32]
1957안나 볼레나,
가에타노 도니제티
라 스칼라 극장마리아 칼라스, 줄리에타 시미오나토, 니콜라 로시-레메니
지휘: 지안안드레아 가바체니[33]
1957타우리스의 이피게니,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Christoph Willibald Gluckde
라 스칼라 극장마리아 칼라스, 프란체스코 알바네세, 안셀모 콜차니, 피오렌차 코소토
지휘: 니노 산조뇨[34]
1958돈 카를로, 베르디로열 오페라 하우스,
런던
존 비커스, 티토 고비, 보리스 크리스토프, 그레 브라우엔스테인
지휘: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35]
1958맥베스, 베르디스폴레토 페스티벌윌리엄 채프먼 & 디노 돈디; 페루초 마졸리 & 우고 트라마; 샤케 바르테니시안.
지휘: 토마스 쉬퍼스[36]
1959알바 공작, 도니제티스폴레토 페스티벌[38]루이지 퀼리코, 블라디미로 간차롤리, 프랑코 벤트릴리아, 레나토 치오니, 이바나 토시니.
지휘: 토마스 쉬퍼스[37]
1961살로메,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스폴레토 페스티벌[38]조지 셜리, 릴리 추카시안, 마가레이 타인스, 로버트 앤더슨, 폴 아놀드.
지휘: 토마스 쉬퍼스[37]
1963Il diavolo in giardino,
프랑코 만니노 (1963)
마시모 극장, 팔레르모[38]우고 베넬리, 클라라 페트렐라, 지안나 갈리, 안토니오 아날로로, 안토니오 보이에르.
지휘: 엔리코 메디올리.
대본: 비스콘티 & 필리포 산주스트[37]
1963라 트라비아타, 베르디스폴레토 페스티벌프란카 파브리, 프랑코 보니솔리, 마리오 바시오라
지휘: 로버트 라 마르치나[39]
1964피가로의 결혼,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로마 오페라 극장[44]롤란도 파네라이, 우바 리가부에, 우고 트라마, 마르텔라 아다니, 스테파니아 말라구.
지휘: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37]
1964일 트로바토레볼쇼이 극장, 모스크바 (9월)피에트로 카푸칠리, 가브리엘라 투치, 줄리에타 시미오나토, 카를로 베르곤지
지휘: 지안안드레아 가바체니[40]
1964일 트로바토레, 베르디로열 오페라 하우스, 런던 (11월)
(산주스트 연출)
피터 글로솝, 그웬네스 존스 & 레온타인 프라이스, 줄리에타 시미오나토, 브루노 프레베디
지휘: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41]
1965돈 카를로, 베르디로마 오페라 극장체사레 시에피, 지안프란코 체켈레, 코스타스 파스칼리스, 마르티 탈벨라, 수잔 사로카, 미렐라 보이에르.
지휘: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42]
1966팔스타프, 베르디빈 국립 오페라 극장디트리히 피셔-디스카우, 롤란도 파네라이, 머레이 디키, 에리히 쿤츠, 일바 리가부에, 레지나 레스닉.
지휘: 레너드 번스타인[43]
1966장미의 기사, 슈트라우스로열 오페라 하우스, 런던[44]세나 유리나치, 조세핀 베이시, 마이클 랭던.
지휘: 게오르그 숄티[45]
1967라 트라비아타, 베르디로열 오페라 하우스, 런던미렐라 프레니, 레나토 치오니, 피에로 카푸칠리.
지휘: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46]
1969시몬 보카네그라, 베르디빈 국립 오페라 극장에버하르트 베히터, 니콜라이 기아우로프, 군둘라 야노비츠, 카를로 코수타
지휘: 요제프 크립스[47]
1973마농 레스코,
자코모 푸치니
스폴레토 페스티벌[44]낸시 셰이드, 해리 데이어드, 앤젤로 로메로, 카를로 델 보스코.
지휘: 토마스 쉬퍼스.[37]


5. 수상 내역

루키노 비스콘티는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1948년 《흔들리는 대지》로 국제상을, 1957년 《백야》로 은사자상을 수상했다. 1960년에는 《모두의 젊음》으로 심사위원 특별상과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을, 1965년에는 《별자리의 희미한 별빛》으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나스트로 디 아르젠토상에서는 1961년 《모두의 젊음》, 1970년 《신들의 황혼》, 1972년 《베니스에서의 죽음》, 1975년 《가족의 초상》으로 최우수 작품 감독상을 수상했다.

칸 영화제에서는 1963년 《레오파드》로 황금종려상을, 1971년 《베니스에서의 죽음》으로 25주년 기념상을 수상했다.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에서는 1971년 《베니스에서의 죽음》, 1973년 《루트비히》, 1975년 《가족의 초상》으로 감독상을 수상했다.

이 외에도 영국 아카데미상, 골든 글로브상, 아카데미상 등 여러 영화제에서 후보로 지명되거나 수상했다.

6. 영향 및 평가

참조

[1] 뉴스 Count zero https://www.theguard[...] 2023-11-28
[2] 뉴스 'THE LEOPARD' IN ITS ORIGINAL LAIR: Care and Authenticity Mark screen Version of Modern Classic New York Times 1962-07-29
[3] 웹사이트 Visconti's Verdi – Italian Journal https://italianjourn[...] 2023-11-28
[4] 웹사이트 Where to begin with Luchino Visconti https://www.bfi.org.[...] 2016-03-17
[5] 웹사이트 The Essentials: The 8 Best Luchino Visconti Films https://www.indiewir[...] 2021-05-04
[6] 웹사이트 M/M Icon: Luchino Visconti http://mannerofman.b[...] 2010-11-02
[7] 뉴스 Yes, He Threw No Tantrum https://www.nytimes.[...] 2021-10-01
[8] 서적 Luchino Visconti. Fürst des Films 1988
[9] 서적 Luchino Visconti. Fürst des Films 1988
[10] 서적 Luchino Visconti. Fürst des Films 1988
[11] 서적 Visconti: Explorations of Beauty and Deca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Visconti: Explorations of Beauty and Deca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서적 Visconti : explorations of beauty and decay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14] 서적 Visconti : explorations of beauty and decay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15] 문서 Nowell-Smith
[16] 웹사이트 2nd Mosco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1961) https://web.archive.[...] 2012-11-04
[17] 서적 Luchino Visconti. Fürst des Films 1988
[18] 웹사이트 Visconti, Luchino https://www.sensesof[...] 2021-10-01
[19] 뉴스 The Aristocra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6-09-17
[20] 서적 Luchino Visconti. Prince of film 1988
[21] 웹사이트 The Damned http://www.bbfc.co.u[...] 2020-03-30
[22] 서적 Umberto II Psychology Press 2002
[23] 서적 Luchino Visconti. Fürst des Films 1988
[24] 뉴스 Director Uberto Pasolini presents his movie on loneliness in Madrid https://www.sandiego[...] 2024-09-09
[25] 웹사이트 'Nowhere Special' — Nuremberg International Human Rights Film Festival https://www.nihrff.d[...] 2024-09-09
[26] 뉴스 The decadent realist https://www.theguard[...] 2017-12-26
[27] 웹사이트 Luchino Visconti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8] 웹사이트 Luchino Visconti Biography https://web.archive.[...]
[29] 웹사이트 Ischia.it english - Colombaia by Luchino Visconti https://www.ischia.i[...]
[30] 문서 1977
[31] 문서 1977
[32] 문서 1977
[33] 문서 1977
[34] 문서 1977
[35] 문서 Viscontiana 2001
[36] 간행물 Viscontiana 2001
[37] 웹사이트 "Lirica": Operas directed by Visconti http://www.luchinovi[...] 2015-08-03
[38] 간행물 Viscontiana 2001
[39] 간행물 Viscontiana 2001
[40] 간행물 Viscontiana 2001
[41] 간행물 Viscontiana 2001
[42] 간행물 Viscontiana 2001
[43] 간행물 Viscontiana 2001
[44] 간행물 Viscontiana 2001
[45] 웹사이트 Royal Opera House performance archive for 21 April 1966 http://www.rohcollec[...]
[46] 간행물 Viscontiana 2001
[47] 간행물 Viscontiana 2001
[48] 웹사이트 ルキノ・ヴィスコンティ http://www.kinenote.[...] KINENOTE 2013-04-12
[49] 웹사이트 Where to begin with Luchino Visconti https://www2.bfi.org[...] 2022-09-29
[50] 웹사이트 The Essentials: The 8 Best Luchino Visconti Films https://www.indiewir[...] 2022-09-29
[51] 문서 太陽がいっぱい」「さらば友よ」など多数の名作映画に出演した
[52] 문서 「ショック療法」でアラン・ドロンと共演している
[53] 문서 「ひまわり」など名作出演多数
[54] 서적 他に「魔の山」などの小説作品があ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